반응형

전체 글 120

[React] 리액트의 가상화: 대량 데이터 렌더링의 해결책

React 애플리케이션에서 대량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렌더링 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입니다. 수천 개의 항목을 한 번에 렌더링 하면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강력한 기술이 바로 '가상화(Virtualization)'입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리액트의 가상화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1. 가상화란 무엇인가?가상화는 대량의 데이터 중 현재 화면에 보이는 부분만 렌더링하고, 나머지는 필요할 때 렌더링하는 기법입니다. 이를 통해 메모리 사용량을 줄이고 렌더링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가상화의 장점성능 향상: 필요한 항목만 렌더링하여 초기 로딩 시간과 메모리 사용량을 줄입니다.부드러운 스크롤: 대량의 데이터에서도 부드러운 스크롤 경험을 제공합니다.효율적인 DOM 관리..

언어/REACT 2024.08.12

[React] React 프로젝트의 효과적인 문서화 방법

React 프로젝트의 효과적인 문서화는 개발 팀의 생산성을 높이고, 새로운 팀원의 온보딩을 용이하게 하며, 프로젝트의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React 프로젝트를 효과적으로 문서화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1. README.md 작성하기프로젝트의 첫인상을 결정짓는 README.md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문서입니다.1.1 README.md의 구조# 프로젝트 이름간단한 프로젝트 설명## 설치 방법설치 단계를 상세히 기술## 사용 방법기본적인 사용 방법 설명## 주요 기능- 기능 1- 기능 2- 기능 3## 기술 스택- React- Redux- styled-components- etc.## 폴더 구조주요 폴더 구조 설명## 기여 방법프로젝트에 기여하는 방..

언어/REACT 2024.08.12

[React] React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최적화 워크플로우

React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최적화는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고 리소스 사용을 효율화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React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한 체계적인 워크플로우를 알아보겠습니다.1. 성능 문제 식별하기성능 최적화의 첫 단계는 현재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입니다.1.1 React DevTools 사용하기React DevTools의 Profiler 탭을 사용하여 컴포넌트 렌더링 시간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Chrome 개발자 도구를 열고 React DevTools의 Profiler 탭으로 이동합니다.녹화 버튼을 클릭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합니다.녹화를 멈추고 결과를 분석합니다.// 성능 문제가 있는 컴포넌트 예시const SlowComponent = ({ ..

언어/REACT 2024.08.11

[React] 접근성을 고려한 React 컴포넌트 개발 가이드

웹 접근성은 모든 사용자가 웹 콘텐츠를 동등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React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접근성을 고려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 가이드에서는 React 컴포넌트를 개발할 때 고려해야 할 주요 접근성 원칙과 구현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시맨틱 HTML 사용하기React에서 시맨틱 HTML을 사용하는 것은 접근성의 기본입니다. 적절한 HTML 요소를 사용하면 스크린 리더와 같은 보조 기술이 콘텐츠를 더 잘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나쁜 예const Header = () => ( 웹사이트 제목 );// 좋은 예const Header = () => ( 웹사이트 제목 );이 예시에서, 와 태그를 사용함으로써 이 섹션이 페이지의 ..

언어/REACT 2024.08.11

[React] 확장 가능한 React 프로젝트 구조 설계하기

React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가장 중요한 결정 중 하나는 프로젝트 구조를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입니다. 잘 설계된 프로젝트 구조는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며, 팀 협업을 원활하게 만듭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확장 가능한 React 프로젝트 구조를 설계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1. 기본 디렉토리 구조먼저, 기본적인 디렉토리 구조부터 살펴보겠습니다.my-react-project/├── public/├── src/│ ├── components/│ ├── pages/│ ├── hooks/│ ├── contexts/│ ├── services/│ ├── utils/│ ├── styles/│ ├── assets/│ ├── App.js│ └── ..

언어/REACT 2024.08.10

[React] React와 함께하는 클린 코드: 가독성과 유지보수성 향상 전략

React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클린 코드를 작성하는 것은 프로젝트의 장기적인 성공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클린 코드는 가독성이 높고 유지보수가 쉬우며, 버그가 적고 확장성이 좋습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React 개발 시 클린 코드를 작성하기 위한 전략들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명확한 컴포넌트 구조1.1 단일 책임 원칙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각 컴포넌트는 하나의 책임만을 가져야 합니다. 이는 컴포넌트를 더 작고 관리하기 쉬운 단위로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Badconst UserProfile = ({ user }) => ( {user.name} {user.bio} );// Goodconst UserProfile = (..

언어/REACT 2024.08.10

[React] 코드 스플리팅과 지연 로딩을 통한 초기 로딩 성능 개선

웹 애플리케이션의 규모가 커질수록 초기 로딩 시간도 함께 늘어나게 됩니다. 사용자들은 빠른 로딩 속도를 기대하기 때문에, 초기 로딩 성능을 개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React 애플리케이션의 초기 로딩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두 가지 핵심 기술인 코드 스플리팅(Code Splitting)과 지연 로딩(Lazy Loading)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코드 스플리팅이란?코드 스플리팅은 애플리케이션의 코드를 여러 개의 작은 번들로 나누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필요한 코드만 로드하고 실행할 수 있어, 초기 로딩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왜 코드 스플리팅이 필요한가?일반적으로 React 애플리케이션을 빌드하면 모든 코드가 하나의 큰 JavaScript 파일(번들)로 만들어집니다. 이..

언어/REACT 2024.08.09

[React] React 개발자를 위한 필수 디자인 패턴

React 개발을 하다 보면 반복되는 문제들을 마주치게 됩니다. 이런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개발자들은 여러 디자인 패턴을 만들어왔습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React 개발자라면 꼭 알아야 할 필수 디자인 패턴들을 소개하고, 각 패턴의 사용 시기와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컴포넌트 합성 (Component Composition)컴포넌트 합성은 React의 핵심 개념 중 하나입니다. 작은 컴포넌트들을 조합하여 더 큰 컴포넌트를 만드는 방식입니다.예시:const Button = ({ children, onClick }) => ( {children});const Card = ({ title, content }) => ( {title} {content} );const CardW..

언어/REACT 2024.08.09

[ React] React의 고급 렌더링 최적화 기법

1. React.memo를 사용한 컴포넌트 메모이제이션React.memo는 함수형 컴포넌트의 결과를 메모이징(기억)하여, 불필요한 리렌더링을 방지합니다.작동 원리:컴포넌트의 props를 얕은 비교(shallow compare)합니다.props가 변경되지 않았다면, 이전에 렌더링된 결과를 재사용합니다.사용 예시:import React from 'react';const ExpensiveComponent = React.memo(({ data, onItemClick }) => { console.log('ExpensiveComponent rendered'); return ( {data.map(item => ( onItemClick(item.id)}> {item.n..

언어/REACT 2024.08.05

[Python]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집합

파이썬의 주요 자료구조인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집합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이 자료구조들은 파이썬 프로그래밍에서 매우 중요하며 자주 사용됩니다.1. 리스트 (List)순서가 있는 변경 가능한 집합입니다.대괄호 []로 표현하며, 콤마로 요소를 구분합니다.다양한 데이터 타입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예시:fruits = ['apple', 'banana', 'cherry']numbers = [1, 2, 3, 4, 5]mixed = [1, 'hello', 3.14, True]2. 튜플 (Tuple)순서가 있는 변경 불가능한 집합입니다.소괄호 ()로 표현하며, 콤마로 요소를 구분합니다.한 번 생성되면 내용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예시:coordinates = (10, 20)rgb_color = (255, 0..

언어/PyThon 2024.07.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