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94

[Oracle] 오라클 병렬 처리 힌트 ( PARALLEL HINT )

병렬 처리는 대용량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기 위한 핵심 기술입니다. 오라클은 다양한 병렬 처리 힌트를 제공하여 쿼리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게 해 줍니다. 이 포스트에서는 주요 병렬 처리 관련 힌트들을 자세히 살펴보고, 실제 사용 예제를 통해 그 효과를 이해해 보겠습니다.1. PARALLEL 힌트PARALLEL 힌트는 특정 테이블이나 인덱스에 대해 병렬 처리를 지시합니다.문법/*+ PARALLEL(table_name, degree) */여기서 degree는 병렬 처리의 정도를 나타냅니다. 숫자로 지정하거나 'DEFAULT'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예제SELECT /*+ PARALLEL(employees, 4) */ department_id, AVG(salary)FROM employeesGROUP..

DB/Oracle 2024.08.14

[Oracle] 오라클 조인 힌트 ( JOIN HINT )

조인 연산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장 중요한 연산 중 하나입니다. 오라클은 다양한 조인 방식을 지원하며, 이를 제어하기 위한 여러 힌트를 제공합니다. 이 포스트에서는 주요 조인 관련 힌트들을 자세히 살펴보고, 실제 사용 예제를 통해 그 효과를 이해해 보겠습니다.1. USE_NL (Nested Loops) 힌트USE_NL 힌트는 Nested Loops 조인 방식을 사용하도록 지시합니다. 이 방식은 작은 데이터셋을 조인할 때 효과적입니다.문법/*+ USE_NL(table1 table2) */예제SELECT /*+ USE_NL(e d) */ e.employee_id, e.first_name, e.last_name, d.department_nameFROM employees eJOIN de..

DB/Oracle 2024.08.14

[Oracle] 오라클 인덱스 힌트 ( INDEX HINT)

인덱스는 데이터베이스 성능 최적화의 핵심 요소 중 하나입니다. 오라클에서는 인덱스 사용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힌트를 제공합니다. 이 포스트에서는 주요 인덱스 관련 힌트들을 자세히 살펴보고, 실제 사용 예제를 통해 그 효과를 이해해 보겠습니다.1. INDEX 힌트INDEX 힌트는 옵티마이저에게 특정 인덱스를 사용하도록 지시합니다.문법/*+ INDEX(table_name index_name) */예제SELECT /*+ INDEX(employees emp_department_ix) */ employee_id, department_id, first_name, last_nameFROM employeesWHERE department_id = 50;이 예제에서는 employees 테이블의 emp..

DB/Oracle 2024.08.13

[Oracle] 오라클 힌트: SQL 성능 최적화의 비밀 무기

오라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다 보면 때로는 쿼리 성능 최적화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럴 때 오라클 힌트가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오라클 힌트의 개념, 주요 유형, 그리고 효과적인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오라클 힌트란?오라클 힌트는 SQL 문에 포함되는 특별한 지시사항으로, 쿼리 옵티마이저에게 특정 실행 계획을 선택하도록 제안합니다. 힌트를 사용하면 옵티마이저의 기본 동작을 재정의하여 쿼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주요 오라클 힌트 유형인덱스 관련 힌트INDEX: 특정 인덱스 사용을 지시NO_INDEX: 인덱스 사용을 방지조인 관련 힌트USE_NL: Nested Loop 조인 사용USE_HASH: Hash 조인 사용USE_MERGE: Sort Merge 조인 사용..

DB/Oracle 2024.08.13

[React] 리액트의 가상화: 대량 데이터 렌더링의 해결책

React 애플리케이션에서 대량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렌더링 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입니다. 수천 개의 항목을 한 번에 렌더링 하면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강력한 기술이 바로 '가상화(Virtualization)'입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리액트의 가상화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1. 가상화란 무엇인가?가상화는 대량의 데이터 중 현재 화면에 보이는 부분만 렌더링하고, 나머지는 필요할 때 렌더링하는 기법입니다. 이를 통해 메모리 사용량을 줄이고 렌더링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가상화의 장점성능 향상: 필요한 항목만 렌더링하여 초기 로딩 시간과 메모리 사용량을 줄입니다.부드러운 스크롤: 대량의 데이터에서도 부드러운 스크롤 경험을 제공합니다.효율적인 DOM 관리..

언어/REACT 2024.08.12

[React] React 프로젝트의 효과적인 문서화 방법

React 프로젝트의 효과적인 문서화는 개발 팀의 생산성을 높이고, 새로운 팀원의 온보딩을 용이하게 하며, 프로젝트의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React 프로젝트를 효과적으로 문서화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1. README.md 작성하기프로젝트의 첫인상을 결정짓는 README.md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문서입니다.1.1 README.md의 구조# 프로젝트 이름간단한 프로젝트 설명## 설치 방법설치 단계를 상세히 기술## 사용 방법기본적인 사용 방법 설명## 주요 기능- 기능 1- 기능 2- 기능 3## 기술 스택- React- Redux- styled-components- etc.## 폴더 구조주요 폴더 구조 설명## 기여 방법프로젝트에 기여하는 방..

언어/REACT 2024.08.12

[React] React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최적화 워크플로우

React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최적화는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고 리소스 사용을 효율화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React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한 체계적인 워크플로우를 알아보겠습니다.1. 성능 문제 식별하기성능 최적화의 첫 단계는 현재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입니다.1.1 React DevTools 사용하기React DevTools의 Profiler 탭을 사용하여 컴포넌트 렌더링 시간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Chrome 개발자 도구를 열고 React DevTools의 Profiler 탭으로 이동합니다.녹화 버튼을 클릭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합니다.녹화를 멈추고 결과를 분석합니다.// 성능 문제가 있는 컴포넌트 예시const SlowComponent = ({ ..

언어/REACT 2024.08.11

[React] 접근성을 고려한 React 컴포넌트 개발 가이드

웹 접근성은 모든 사용자가 웹 콘텐츠를 동등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React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접근성을 고려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 가이드에서는 React 컴포넌트를 개발할 때 고려해야 할 주요 접근성 원칙과 구현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시맨틱 HTML 사용하기React에서 시맨틱 HTML을 사용하는 것은 접근성의 기본입니다. 적절한 HTML 요소를 사용하면 스크린 리더와 같은 보조 기술이 콘텐츠를 더 잘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나쁜 예const Header = () => ( 웹사이트 제목 );// 좋은 예const Header = () => ( 웹사이트 제목 );이 예시에서, 와 태그를 사용함으로써 이 섹션이 페이지의 ..

언어/REACT 2024.08.11

[React] 확장 가능한 React 프로젝트 구조 설계하기

React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가장 중요한 결정 중 하나는 프로젝트 구조를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입니다. 잘 설계된 프로젝트 구조는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며, 팀 협업을 원활하게 만듭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확장 가능한 React 프로젝트 구조를 설계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1. 기본 디렉토리 구조먼저, 기본적인 디렉토리 구조부터 살펴보겠습니다.my-react-project/├── public/├── src/│ ├── components/│ ├── pages/│ ├── hooks/│ ├── contexts/│ ├── services/│ ├── utils/│ ├── styles/│ ├── assets/│ ├── App.js│ └── ..

언어/REACT 2024.08.10

[React] React와 함께하는 클린 코드: 가독성과 유지보수성 향상 전략

React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클린 코드를 작성하는 것은 프로젝트의 장기적인 성공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클린 코드는 가독성이 높고 유지보수가 쉬우며, 버그가 적고 확장성이 좋습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React 개발 시 클린 코드를 작성하기 위한 전략들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명확한 컴포넌트 구조1.1 단일 책임 원칙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각 컴포넌트는 하나의 책임만을 가져야 합니다. 이는 컴포넌트를 더 작고 관리하기 쉬운 단위로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Badconst UserProfile = ({ user }) => ( {user.name} {user.bio} );// Goodconst UserProfile = (..

언어/REACT 2024.08.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