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언어 71

[React] React 개발자를 위한 필수 디자인 패턴

React 개발을 하다 보면 반복되는 문제들을 마주치게 됩니다. 이런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개발자들은 여러 디자인 패턴을 만들어왔습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React 개발자라면 꼭 알아야 할 필수 디자인 패턴들을 소개하고, 각 패턴의 사용 시기와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컴포넌트 합성 (Component Composition)컴포넌트 합성은 React의 핵심 개념 중 하나입니다. 작은 컴포넌트들을 조합하여 더 큰 컴포넌트를 만드는 방식입니다.예시:const Button = ({ children, onClick }) => ( {children});const Card = ({ title, content }) => ( {title} {content} );const CardW..

언어/REACT 2024.08.09

[ React] React의 고급 렌더링 최적화 기법

1. React.memo를 사용한 컴포넌트 메모이제이션React.memo는 함수형 컴포넌트의 결과를 메모이징(기억)하여, 불필요한 리렌더링을 방지합니다.작동 원리:컴포넌트의 props를 얕은 비교(shallow compare)합니다.props가 변경되지 않았다면, 이전에 렌더링된 결과를 재사용합니다.사용 예시:import React from 'react';const ExpensiveComponent = React.memo(({ data, onItemClick }) => { console.log('ExpensiveComponent rendered'); return ( {data.map(item => ( onItemClick(item.id)}> {item.n..

언어/REACT 2024.08.05

[Python]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집합

파이썬의 주요 자료구조인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집합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이 자료구조들은 파이썬 프로그래밍에서 매우 중요하며 자주 사용됩니다.1. 리스트 (List)순서가 있는 변경 가능한 집합입니다.대괄호 []로 표현하며, 콤마로 요소를 구분합니다.다양한 데이터 타입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예시:fruits = ['apple', 'banana', 'cherry']numbers = [1, 2, 3, 4, 5]mixed = [1, 'hello', 3.14, True]2. 튜플 (Tuple)순서가 있는 변경 불가능한 집합입니다.소괄호 ()로 표현하며, 콤마로 요소를 구분합니다.한 번 생성되면 내용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예시:coordinates = (10, 20)rgb_color = (255, 0..

언어/PyThon 2024.07.31

[React] React의 새로운 기능: Concurrent Mode와 Suspense

오늘은 React의 혁신적인 새 기능인 Concurrent Mode와 Suspense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 기능들은 React 애플리케이션의 성능과 사용자 경험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초보자 분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개념부터 실제 사용 사례까지 상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1. Concurrent Mode 심층 분석1.1 Concurrent Mode란?Concurrent Mode는 React 애플리케이션이 더 반응적이고 유연해지도록 돕는 새로운 렌더링 모델입니다. 이 모드에서 React는 렌더링 작업을 여러 개의 청크로 나누어 처리하며, 우선순위에 따라 이를 중단하거나 재개할 수 있습니다.1.2 주요 특징작업 우선순위 지정:React가 중요한 업데이트를..

언어/REACT 2024.07.30

[React] React에서의 테스트 주도 개발(TDD) 가이드

1. TDD란 무엇인가?테스트 주도 개발(Test-Driven Development, TDD)은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중 하나로, 실제 코드를 작성하기 전에 테스트 코드를 먼저 작성하는 방식입니다. TDD의 기본 사이클은 다음과 같습니다:실패하는 테스트 작성 (Red)테스트를 통과하는 최소한의 코드 작성 (Green)코드 리팩토링 (Refactor)이 과정을 "Red-Green-Refactor" 사이클이라고 부릅니다.2. React에서 TDD를 적용하는 이유React 애플리케이션에 TDD를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습니다:버그 조기 발견 및 수정코드의 품질과 신뢰성 향상리팩토링 시 안전성 확보명확한 요구사항 정의 및 구현3. React TDD 도구React 애플리케이션의 TDD를 위해 주로 사용되..

언어/REACT 2024.07.29

[React] React와 서버 사이드 렌더링 (SSR): 상세 가이드

오늘은 React와 서버 사이드 렌더링(SSR)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 가이드는 SSR의 기본 개념부터 React에서의 실제 구현 방법, 그리고 고급 주제까지 다룰 예정입니다.1. 서버 사이드 렌더링(SSR)이란?서버 사이드 렌더링은 웹페이지의 초기 로드를 서버에서 처리하는 기술입니다. 전통적인 웹 개발 방식이었으나, 싱글 페이지 애플리케이션(SPA)의 등장으로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CSR)이 주목받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다시 SSR이 주목받고 있죠.동작 방식:사용자가 페이지를 요청합니다.서버는 요청을 받아 필요한 데이터를 가져옵니다.서버에서 React 컴포넌트를 렌더링하여 HTML을 생성합니다.생성된 HTML을 클라이언트에 보냅니다.클라이언트는 받은 HTML을 표시하고, React가..

언어/REACT 2024.07.29

[React] React 성능 최적화 기법: 초보자를 위한 상세 가이드

오늘은 React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React는 이미 빠른 라이브러리지만, 앱이 커지고 복잡해지면 성능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요.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 더 빠른 앱을 만들기 위한 다양한 기법들을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1. 불필요한 렌더링 방지하기React에서 성능 저하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불필요한 렌더링입니다. 컴포넌트가 실제로 변경되지 않았는데도 다시 그려지는 경우가 있죠. 이를 방지하는 몇 가지 방법을 알아봅시다.React.memo 사용하기React.memo는 컴포넌트의 props가 변경되지 않았다면 리렌더링을 방지합니다. 간단히 말해, 입력이 같다면 같은 결과를 반환한다는 거죠.const MyComponent = React.memo(function..

언어/REACT 2024.07.28

[React] React와 GraphQL 통합: 초보자를 위한 가이드

본 가이드에서는 React와 GraphQL의 통합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기본 개념부터 실제 적용 방법까지 단계별로 안내해 드리겠습니다.1. GraphQL 개요GraphQL은 API를 위한 쿼리 언어로, 기존의 REST API와는 다른 접근 방식을 제공합니다.REST API와의 비교REST API: 미리 정의된 엔드포인트로 데이터를 요청합니다. 이는 미리 준비된 메뉴에서 선택하는 것과 유사합니다.GraphQL: 클라이언트가 필요한 데이터를 정확히 명시하여 요청할 수 있습니다. 이는 뷔페 식당에서 원하는 음식만 선택하는 것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GraphQL을 사용하면 필요한 데이터만 정확하게 요청할 수 있어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합니다.2. React와 GraphQL 통합 방법React와 Grap..

언어/REACT 2024.07.27

[React] React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 비교: 초보자를 위한 상세 가이드

오늘은 React 개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상태 관리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특히, 가장 인기 있는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인 Redux, MobX, Recoil을 비교해볼 거예요. 이 글을 통해 각 라이브러리의 특징과 장단점을 이해하고, 여러분의 프로젝트에 가장 적합한 도구를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상태 관리가 뭔가요?먼저, '상태 관리'가 무엇인지 간단히 설명하겠습니다. React 앱에서 '상태(state)'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할 수 있는 데이터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 쇼핑 카트의 아이템 목록, 또는 게시판의 글 목록 등이 상태가 될 수 있죠.작은 앱에서는 React의 내장 상태 관리 기능(useState, useContext 등)만으로도 충분할 수..

언어/REACT 2024.07.27

[React] 웹 개발에서의 기능 감지(Feature Detection)와 React에서의 활용

기능 감지란?기능 감지(Feature Detection)는 웹 브라우저가 특정 기능이나 API를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프로그래밍 기법입니다. 이는 브라우저의 버전이나 종류를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필요한 기능이 사용 가능한지를 직접 확인하는 방식입니다.기능 감지의 중요성크로스 브라우저 호환성: 다양한 브라우저와 버전에서 일관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점진적 기능 향상: 최신 기능을 지원하는 브라우저에서는 향상된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에서는 기본 기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유지보수 용이성: 브라우저 버전이나 종류에 따른 조건문을 사용하는 것보다 코드 관리가 쉽습니다.기능 감지의 예시기본적인 JavaScript API 감지:if ('localStorage' in window) { ..

언어/REACT 2024.07.26
반응형